화면이나 종이에 어떤 이미지가 표현될 때, 그 선명함이나 섬세함의 정도를 말하는 게 바로 해상도야. 해상도는 결국 작은 점들, 그러니까 픽셀들의 집합으로 이뤄져 있지.
이미지 하나를 표현하는 데 쓰이는 기본 단위를 구성하는 픽셀 개수, 이걸 우리는 해상도라고 부르는 거야. 해상도가 높을수록, 즉 픽셀의 수가 많아질수록, 당연히 이미지의 세세한 부분까지 더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어. 그래서 해상도를 이야기할 때 가장 중요한 건, 해상도가 '픽셀들의 집합'이라는 점을 이해하는 거야. 같은 이미지를 쓰더라도, 시스템이 픽셀을 어떤 단위로 묶느냐에 따라 여러 해상도 값이 나올 수 있거든. 비트맵 이미지 기준으로 해상도는 '이 이미지가 몇 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 여기서 등장하는 단어들이 바로 dpi와 ppi야.
dpi(Dot per inch) 인쇄된 화면의 인치당 도트 수로 인쇄물의 해상도를 설명하는데 사용해. 밀도를 의미하는 해상도 프린터의 망점을 1 인치 길이에 얼마만큼 밀집시켜 인쇄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가로, 세로 1인치가 몇 개의 점으로 구성 되어있는가를 나타내며 인쇄물에서 인쇄물 형태에 따라서 수치를 달리하여 주로 사용되는 단위이며 인쇄를 목적으로 이미지 편집을 할 때 포토샵 등 이미지 에디팅 프로그램에서 주로 사용된다. 어떤 이미지가 72dpi라고 한다면 가로 1인치에 72개*세로 1인치에 72개의 점, 총 5,184개의 점(dot 또는 Pixel)으로 이루어져 진거지.
예) 300 DPI = 1 x 1 인치 면적에 300 x 300 개의 망점을 찍어 인쇄
ppi (Pixel per inch) 인치당 픽셀 수로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텔레비전의 해상도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해. 모니터의 픽셀 집적도 픽셀의 밀도는 패널 제조 시 결정되는 속성으로, 주로 모니터의 스펙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
웹이나 영상을 통해 보는 것들모두가 PPI이라고 볼 수 있어. 즉,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티비에 나오는 모든 것을 의미해. dpi와 근본적인 차이는 없으나 PC에서 작업 중에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의 해상도를 나타내며 인쇄물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작업중인 모니터상의 이미지 해상도를 말할 때는 ppi라는 용어가 정확하다고 할 수 있어.
예)72 ppi의 경우 72X72 해서 총 5184개의 픽셀이 존재
300 ppi의 경우에는 300X300 해서 총 9만 개의 픽셀로 구성되어 있는 것임
웹상의 이미지는 서버 비용과 로딩 속도를 고려해서 72 ppi를 주로 사용합니다. 굳이 무거운 용량의 300 ppi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니터로 보는 이미지는 72 ppi정도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300 ppi는 주로 인쇄용 이미지로 사용되는 고해상도 작업물에서 사용합니다. 72 ppi로 작업하면 모니터로는 티가 잘 나지 않지만 인쇄 결과물을 보면 선명도가 떨어져서 화질이 좋지 않지 않습니다. 따라서 인쇄용 이미지를 작업할 때는 처음부터 300 ppi로 작업해야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포토샵에서 ppi 설정
결론적으로 해상도는 디지털 콘텐츠의 품질과 디테일을 결정하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필수 개념입니다. 인쇄용 이미지로 작업하든 디지털 미디어로 작업하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고품질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해상도의 원칙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