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강의에서 포트를 알아봤으니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는 이해하기가 쉬울 거야.
간단히 말해서,
입력 포트(Input)는 "나 이거 받아서 일할게!"
출력 포트(Output)는 "내가 만든 결과 여기 있어!"
이렇게 생각하면 돼.
이 두 가지는 ComfyUI에서 노드들끼리 소통하는 통로야. 데이터가 이 구멍들 사이를 흐르면서 이미지가 점점 완성되는 거지.
노드를 ‘작은 기계’라고 생각해보자.
ComfyUI에서 하나의 노드는 무언가 일을 하는 작은 기계야.근데 이 기계는 혼자선 아무것도 못 해. 외부에서 재료(데이터)를 받아야 작동하고, 그 결과물을 다음 기계로 보내야 전체 작업이 굴러가.
그래서 필요한 게 바로 이 입력과 출력 포트야.
전 강의에 포트에는 타입이 있다고 했잖아? 기억 안나면 다시보기^^
https://designmoney.tistory.com/45
포트에는 타입(type)이 있다?
ComfyUI의 노드 박스를 딱 보면 이래직관적인 흐름 구조야.왼쪽 → 오른쪽, 데이터 흐름 방향을 시각적으로 따르게 되어 있어.사용자가 노드를 배치하면서 자연스럽게 “왼쪽은 받는 곳, 오른쪽은
designmoney.tistory.com
정리한번할까!!
1. 포트는 “입구”와 “출구”다.
기억 공식: 출력 → 입력 방향으로만 연결할 수 있다. 거꾸로는 안 됨!!
2. 포트에는 타입이 있다 (색깔로 확인) , 각 포트는 어떤 데이터만 받아들일지 정해져 있어.
포트는 마치 "데이터를 주고받는 파이프 입구와 출구"야. 그런데 이 파이프는 "나는 물만 받을 수 있어"라고 말하는 식이야.
즉, 어떤 포트는 이미지 데이터만,어떤 포트는 텍스트 데이터만, 또 어떤 포트는 숫자값만 받아들일 수 있어.
이 타입이 맞지 않으면, ComfyUI는 연결 자체를 막아버려. 왜냐면 잘못된 연결은 오류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야.
3. 연결 안 하면 작동 안 한다!
입력 포트에 아무 것도 안 꽂혀 있으면,그 노드는 빈 손으로 작업하려고 하는 꼴이 돼서 오류 나거나 작동 안 해.
4. 출력 포트는 여러 노드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하나의 출력 포트에서 여러 개의 입력 포트로 분기해도 괜찮음.
하지만 입력 포트는 1개만 연결 가능→ 같은 입력 포트에 2개 선 연결은 ❌
5. 연결해도 이미지 안 나올 수 있다?
포트 연결이 되어 있다고 해도 타입이 맞지 않거나 순서가 꼬였거나 중간 노드가 빠졌거나 하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그래서 항상 흐름 확인 (텍스트 → 인코딩 → 샘플링 → 디코딩 → 저장) 연결 누락 체크 포트 타입 확인!!
실전 체크리스트 (초보자용)
입력은 왼쪽, 출력은 오른쪽인가? ✅
출력에서 입력으로 연결했는가? ✅
포트 색깔이 같은가? (타입이 맞는가?) ✅
필수 입력 포트가 모두 연결되어 있는가? ✅
이미지가 안 나올 경우 중간 노드 누락 없는가? ✅
출력 포트 하나에서 여러 노드에 연결해도 괜찮은가? ✅
ComfyUI는 진짜 직관적이지만, 노드 5~6개만 연결돼도 실수가 많아져. 그래서 포트를 대충 연결하는 게 아니라,
“이 포트는 무슨 데이터를 주고받는가”
“이 선을 따라 어떤 정보가 흐르는가”
이걸 머릿속으로 상상하면서 연결해야 진짜 이해가 돼.
처음엔 CLIP Text Encode, KSampler, VAE Decode, Image Save 이 네 개 노드로만 반복 연습해봐. 포트의 흐름이 눈에 들어올 거야.
다음엔 ComfyUI로 들어가 볼까!!
'@MucKoo's ComfyUI Bible @ > #ComfyUI Navig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fyUI기본구성-3 "Model★★" (1) | 2025.04.21 |
---|---|
ComfyUI기본구성-2 "Model★★" (1) | 2025.04.21 |
ComfyUI, Checkpoint가 뭘까? (2) | 2025.04.21 |
포트에는 타입(type)이 있다? (0) | 2025.04.19 |
노드(Node)의 개념 (1)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