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fyui기초3

Steps! 진화 과정의 단계 수 Steps는초기 노이즈를 점차 제거하며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진화 과정의 단계 수” 즉, AI가 그림을 완성하기까지 몇 번에 나눠 그릴 거냐는 거야. 어떻게 작동하냐구? Stable Diffusion은 처음에 무작위 노이즈(= seed)로 시작해. 그걸 점점 덜어내면서 그림을 완성해가는데, 그 “덜어내는 과정”을 몇 단계(Steps)에 걸쳐 하느냐가 바로 Steps야. Seed란 무엇인가.한 줄로 말하면: “랜덤을 정해주는 숫자”야. 랜덤인데 왜 정해? 이상하지? 그게 바로 핵심이야. AI가 이미지를 만들 때, 처음부터 아무거나 막 찍어서 만드는 게 아니라, '랜덤처럼 보이지만 재designmoney.tistory.com Steps = 10 → 10번만에 결과 도출 (빠름, 거칠 수 있음)Steps.. 2025. 5. 3.
CFG(Classifier-Free Guidance) AI 이미지 생성의 핵심 조정 값 중 하나인 CFG(Classifier-Free Guidance)에 대해 완전 분석 들어가자. 이거 이해 안 되면, 프롬프트 조절도, 이미지 디테일 튜닝도 헛수고 될 수 있어. CFG란? Classifier-Free Guidance의 줄임말.텍스트 조건(프롬프트)을 얼마나 강하게 반영할지 조절하는 기법이야. 그리고 그걸 위해 “ Classifier (분류기)” 없이 작동하는 걸 의미해. 원래 방식 Classifier Guidance (옛날 방식), 초기 GAN이나 이미지 생성 모델은 진짜-가짜 판별기(Classifier 또는 Discriminator)가 필요했어. 이 판별기가 “이 이미지가 조건에 맞나?”를 판단해주면서 생성기(Generator)를 유도했지. 근데 이 .. 2025. 5. 3.
Seed란 무엇인가. 한 줄로 말하면: “랜덤을 정해주는 숫자”야. 랜덤인데 왜 정해? 이상하지? 그게 바로 핵심이야. AI가 이미지를 만들 때, 처음부터 아무거나 막 찍어서 만드는 게 아니라, '랜덤처럼 보이지만 재현 가능한 무작위'를 써. 그 출발점이 바로 Seed(씨앗)이라는 숫자지.쉽게 말해서, 시드는 ComfyUI를 포함한 이미지 생성 AI가 처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는 씨앗 같은 거야. 똑같은 씨앗을 심으면 거의 똑같은 결과물이 나오듯이, 똑같은 시드 값을 사용하면 (거의) 똑같은 초기 노이즈 맵에서 그림이 시작되기 때문에 비슷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거지.같은 프롬프트 + 같은 Seed → 똑같은 이미지 같은 프롬프트 + 다른 Seed → 완전 다른 이미지 같은 씨드를 쓰면 같은 잡음에서 시작하니까, 결과물이 .. 2025. 5.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