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sampler3 초보자용 ComfyUI 샘플러 설명서: KSampler 제대로 쓰는 법 Ksampler node KSampler-그림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핵심 노드Sampler는 AI가 노이즈에서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방식을 정의하는 알고리즘이야.노이즈 제거를 몇 번에, 어떤 속도로, 어떤 수학적 곡선을 따라 할지 결정해예: Euler는 빠르고 단순, DPM++는 정밀, Unidesignmoney.tistory.com1.seed & 2. control_after_generate Seed란 무엇인가.한 줄로 말하면: “랜덤을 정해주는 숫자”야. 랜덤인데 왜 정해? 이상하지? 그게 바로 핵심이야. AI가 이미지를 만들 때, 처음부터 아무거나 막 찍어서 만드는 게 아니라, '랜덤처럼 보이지만 재designmoney.tistory.com3.step Steps! 진화 과정의 단계 수Steps는초.. 2025. 5. 4. Steps! 진화 과정의 단계 수 Steps는초기 노이즈를 점차 제거하며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진화 과정의 단계 수” 즉, AI가 그림을 완성하기까지 몇 번에 나눠 그릴 거냐는 거야. 어떻게 작동하냐구? Stable Diffusion은 처음에 무작위 노이즈(= seed)로 시작해. 그걸 점점 덜어내면서 그림을 완성해가는데, 그 “덜어내는 과정”을 몇 단계(Steps)에 걸쳐 하느냐가 바로 Steps야. Seed란 무엇인가.한 줄로 말하면: “랜덤을 정해주는 숫자”야. 랜덤인데 왜 정해? 이상하지? 그게 바로 핵심이야. AI가 이미지를 만들 때, 처음부터 아무거나 막 찍어서 만드는 게 아니라, '랜덤처럼 보이지만 재designmoney.tistory.com Steps = 10 → 10번만에 결과 도출 (빠름, 거칠 수 있음)Steps.. 2025. 5. 3. KSampler-그림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핵심 노드 Sampler는 AI가 노이즈에서 이미지를 만들어가는 방식을 정의하는 알고리즘이야.노이즈 제거를 몇 번에, 어떤 속도로, 어떤 수학적 곡선을 따라 할지 결정해예: Euler는 빠르고 단순, DPM++는 정밀, UniPC는 속도+품질 밸런스 AI 이미지 생성 샘플링 기법 중 유명한 논문: "Elucidating the Design Space of Diffusion-Based Generative Models" (Tero Karras et al.) 이 논문에서 제안된 Karras-style 스케줄러와 관련된 구조를 쓰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라는 설이 있어.Stable Diffusion에서도 DPM++ Karras 라는 샘플러가 자주 등장하지 KSampler = Karras 기반 샘플링 방식 + Sampler 노.. 2025. 4.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