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ucKOO's 글그리기/#Prompt Enginnering#6

프롬프트, 대충 쓰지 마라 - 명확성의 기술 살면서 이런 말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야. “말을 좀 똑바로 해.” 프롬프트 세상도 똑같다. HiDream이든 Flux든, 네가 던지는 말(프롬프트)을 똑바로 못 알아들으면 엉뚱한 짓을 한다. 똑같은 "아름다운 풍경"인데, 어떤 놈은 초원에 사슴을 띄우고, 어떤 놈은 해변에 낙타를 쑤셔 넣는다. 난 이걸 보고 깨달았지. 'AI는 눈치가 없다.' 그래서 오늘은, 프롬프트 작성할 때 명확성이 왜 그리 중요한지, 또 어떻게 해야 쓸데없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신경줄을 아낄 수 있는지 먹구형 스타일로 찰지게 풀어볼게.1. 명확성? 그거 없으면 망한다 모델은 사람이 아니야. 눈빛이나 분위기 읽고 알아서 척척하는 게 아니라, 네가 던진 단어 그대로 받아적는 기계야. "예쁘다", "멋있다" 같은 애매한 표현을 집어던지.. 2025. 4. 28.
Prompt를 분석하다-1 HiDream-I1에서 생성한 이미지의 프롬프트야."A photograph of an albino woman with white skin and dark hair wearing black in the style of old baroque oil paintings, with soft focus, wearing a pearl necklace around her neck, with a dark background, with rosy cheeks, with a long veil covering her face, looking straight ahead" ComfyUI.org 블로그 HiDream-I1의 샘플로 올라온 프롬프트를 분석해보자. 전에 올렸던 프롬프트작성법에 얼마나 충실히 따랐는지 살펴보면 내가 직접.. 2025. 4. 28.
ComfyUI 프롬프트 작성법 프롬프트 아무렇게나 쓰면? 절대 제대로 된 그림 안 나온다. ComfyUI는 "노드 기반"이지만, 결국 시작은 프롬프트에서 모든 게 갈리는 거야. 자, 오늘은 ComfyUI 전용 프롬프트 작성 꿀팁 싹 정리해줄게. 1. 영어로 써라. 무조건. ComfyUI에 들어가는 프롬프트는 기본적으로 영어야. 왜? CLIP 모델이 영어 데이터로 훈련됐거든. 한국어로 "아름다운 호수" 이런 거 써봐야, 모델은 멍하니 있을 뿐이야. 꿀팁 하나: 영어가 부담되면 번역 플러그인 써. SalaDict 같은 거. 아니면 DeepL이나 Papago 돌려서 깔끔하게 번역하고 가져와. 2. 간결하게 써라. 프롬프트는 시(詩)야. 장편소설 쓰지 마. 짧고 명확한 키워드만 콕콕 찍어줘야 해.https://designmoney.ti.. 2025. 4. 28.
프롬프트에도 설계가 있다 AI에게 서울 근교 하이킹을 추천해달라고 할 거야. 하지만 그냥 “추천해줘” 하면 평범한 결과밖에 못 얻지. 목적과 맥락, 형식과 주의사항까지 다 담아야 결과가 살아 움직이는 거야. 아래처럼 짜보자. "서울에서 차로 2시간 이내에 갈 수 있는, 중간 거리의 하이킹 코스를 추천해줘. 중간 거리: 왕복 60km, 하이킹 시간 10시간 정도 ,특별하고 독특한 경험, 덜 알려진 곳이면 더 좋음" "각 코스에 대해 다음 정보를 포함해서 알려줘,하이킹 이름 (포털이나 맵에서 검색 가능한 이름으로),시작 지점 주소, 종료 지점 주소,총 거리 (km), 소요 시간 (하이킹 기준),차로 이동 시간 (서울 시청 기준), 그리고 이 코스만의 특별한 점이 뭔지 설명해줘." “우린 주말마다 서울 근교를 걸어. 북한산, 청계산.. 2025. 4. 23.
제대로 질문하면, 제대로 답한다: 문법 좀 챙기자, 우리 세상 모든 일에는 '격'이 있지. 라면 끓일 때도 순서가 있는데, 하물며 질문 하나 던질 때라고 막 던져서야 되겠어? 특히 ChatGPT한테 질문할 땐 말이야, 제대로 된 문법과 예의를 갖추는 게 아주 중요하다. 왜냐고? 그래야 똑똑한(?) 녀석들이 네가 진짜 뭘 원하는지 정확히 읽어내고, 거기에 딱 맞는 답을 내놓을 수 있으니까. 자, 그럼 우리 "문법 지키며 질문 잘하는 법" 깔끔하게, 유쾌하게, 확실하게 정리해보자. 1. 대문자랑 구두점, 제발 좀 써라 질문은 문장의 왕관이야. 왕관을 제대로 씌우려면, 시작은 대문자로, 끝은 물음표로. 중간중간 쉼표도 좀 찍어주고. (마치 국밥 먹다가 깍두기 하나 집어먹는 느낌으로.) 좋은 예: What is the capital of Japan? 작문 실력을 어떻.. 2023. 2. 19.
ChatGPT한테 질문할 때, 말은 짧게, 맥락은 길게 살다 보면 말을 길게 해야 할 때가 있고, 짧게 해야 할 때가 있어. 근데 ChatGPT한테 말 걸 때는, 말은 짧게, 맥락은 길게 해야 해. 왜냐고? 이 친구는 사람처럼 끄덕끄덕 눈치 보는 거 없다. 네가 하는 말, 딱 문자 그대로 받아들인다. 괜히 “알아서 잘 이해하겠지” 기대했다가, 엉뚱한 대답 받아들고 벽 보고 한숨 쉬고 싶으면 길게 말해도 된다. 하지만 진짜 원하는 답을 받으려면? 이제부터 먹구형 말 들어라. 1. 질문은 짧고 강하게 - 뚜렷하게! 길게 묻지 마라. 한 문장 안에 여러 질문 우겨넣지 마라.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이딴 식으로 공손하게 빙빙 돌리지 말고, 딱 부러지게 "인공지능이란 무엇입니까?" 이렇게 던져야 한다. 공손한 포장지 벗겨... 2023.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