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보면 말을 길게 해야 할 때가 있고, 짧게 해야 할 때가 있어. 근데 ChatGPT한테 말 걸 때는, 말은 짧게, 맥락은 길게 해야 해.
왜냐고?
이 친구는 사람처럼 끄덕끄덕 눈치 보는 거 없다. 네가 하는 말, 딱 문자 그대로 받아들인다. 괜히 “알아서 잘 이해하겠지” 기대했다가, 엉뚱한 대답 받아들고 벽 보고 한숨 쉬고 싶으면 길게 말해도 된다.
하지만 진짜 원하는 답을 받으려면? 이제부터 먹구형 말 들어라.
1. 질문은 짧고 강하게 - 뚜렷하게!
길게 묻지 마라. 한 문장 안에 여러 질문 우겨넣지 마라.
예를 들어,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이딴 식으로 공손하게 빙빙 돌리지 말고, 딱 부러지게
"인공지능이란 무엇입니까?" 이렇게 던져야 한다. 공손한 포장지 벗겨. 그래야 본론이 산다. 또, "처음부터 컴퓨터를 만드는 방법" 같은 거 물어보지 마. 그건 아예 책을 써달라는 소리야. ChatGPT가 뇌정지 온다.
대신 이렇게 묻자:
"처음부터 컴퓨터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본 구성 요소는 무엇입니까?" 구체적으로, 쏙 집어, 명확하게.
2. 맥락을 깔아줘야 이해한다
질문을 짧게 하되, 맥락은 깔아줘야 해.
예를 들어, 그냥 "날씨 알려줘" 이러면 이 친구는 우주의 날씨라도 알려줄 기세다. 정확히, "내일 서울 날씨가 궁금합니다."
이렇게 얘기해야 한다. ChatGPT는 텔레파시 능력 없으니까, 위치나 시간 같은 배경정보를 반드시 줘야 한다.
3. 쉽게 쉽게 말하자
네가 아무리 똑똑해도, 복잡한 단어로 꼬아 말하면, ChatGPT는 네 똑똑함을 존경하지 않고, 그냥 헷갈린다."폐렴 구균 감염에 대한 후천성 면역 반응 기전은?" 이렇게 묻는 대신 "폐렴에 걸리면 우리 몸이 어떻게 방어하나요?"
이렇게 풀어라. 간단하게. 쉽게. 또박또박. 쉽게 말하는 게 상대방에 대한 배려야. 기계든 사람이든.
4. 모호함은 금물
"좋은 여행지 추천해줘" 이렇게 묻지 마라. ChatGPT는 너를 몰라. 네 취향도 모른다. 그래서 하와이부터 북극까지, 요지경 대답이 튀어나온다. 차라리 이렇게 쏴라. "겨울에 스키 타기 좋은 유럽 여행지 추천해줘."딱 네가 원하는 방향을 박아줘야 한다. 그래야 대답도 똑바로 나온다. 5. 존중은 기본 매너다. 질문할 때 짜증 섞거나, 도발하거나, 뒷담화식으로 던지지 마라.
ChatGPT도 AI 나름대로 상처받진 않겠지만, 그런 질문은 스스로를 저급하게 만든다."왜 이렇게 멍청해? 제대로 답해봐."
이런 식으로는 좋은 대답 못 얻는다. 정중하고, 명확하고, 똑똑하게. "이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이게 진짜 고수의 질문법이다.
6. 정리해보자 - 질문도 전략이다
간결하게: 말 줄여라.
맥락 추가: 배경 깔아라.
쉽게 풀어: 전문용어 말고 초딩 단어로.
명확하게: 원하는 방향 확실히 알려줘라.
존중하면서: 점잖게, 품격 있게.
ChatGPT를 쓸 때 이 다섯 가지만 기억하면 된다.질문을 잘하는 건 결국, 네가 원하는 걸 정확히 아는 것과 같다.
헛발질하지 말고, 한 방에 꽂아라. 질문을 잘하는 사람은, 원하는 답을 얻는 사람이다.
형은 오늘도 짧고 강한 질문 하나 남긴다.
"너, 다음엔 뭘 궁금해 할 거야?"
'MucKOO's 글그리기 > #Prompt Enginn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롬프트, 대충 쓰지 마라 - 명확성의 기술 (1) | 2025.04.28 |
---|---|
Prompt를 분석하다-1 (1) | 2025.04.28 |
ComfyUI 프롬프트 작성법 (0) | 2025.04.28 |
프롬프트에도 설계가 있다 (1) | 2025.04.23 |
제대로 질문하면, 제대로 답한다: 문법 좀 챙기자, 우리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