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ucKOO's 글그리기/#Prompt Enginnering#

프롬프트, 대충 쓰지 마라 - 명확성의 기술

by MucKOO & Mallaeng 2025. 4. 28.
반응형

살면서 이런 말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야. “말을 좀 똑바로 해.”

프롬프트 세상도 똑같다.

HiDream이든 Flux든, 네가 던지는 말(프롬프트)을 똑바로 못 알아들으면 엉뚱한 짓을 한다. 똑같은 "아름다운 풍경"인데, 어떤 놈은 초원에 사슴을 띄우고, 어떤 놈은 해변에 낙타를 쑤셔 넣는다. 난 이걸 보고 깨달았지.

'AI는 눈치가 없다.'

그래서 오늘은, 프롬프트 작성할 때  명확성이 왜 그리 중요한지, 또 어떻게 해야 쓸데없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신경줄을 아낄 수 있는지 먹구형 스타일로 찰지게 풀어볼게.



1. 명확성? 그거 없으면 망한다
모델은 사람이 아니야. 눈빛이나 분위기 읽고 알아서 척척하는 게 아니라, 네가 던진 단어 그대로 받아적는 기계야. "예쁘다", "멋있다" 같은 애매한 표현을 집어던지면, 모델은 자기가 아는 거 아무거나 주워다가 짬뽕해 버린다.
결과? 네가 원하는 건 어디에도 없는, "음... 예쁘긴 한데 왜 이래?" 싶은 이미지.
게다가 프롬프트가 대충이면 매번 결과가 들쑥날쑥해. 한 번은 용이 나오고, 또 한 번은 강아지가 나온다. 시간도 뻘짓에 쏟고, 컴퓨터 돌리느라 전기세도 오른다. 돈이 문제가 아니다. ~멘탈이 찢어진다.~

2. 명확하게 쓰려면 이렇게 해라
첫째, 구체적으로.
"예쁜 여자" 말고, "짧은 핑크 머리에 가죽 재킷 입은 젊은 여성". 이렇게 색깔, 머리 길이, 옷 스타일까지 박아 넣어야 한다.

둘째, 객체와 속성 명시.
"새" 하지 말고, "세 마리 참새가 나뭇가지 위에 앉아 있는 장면"이라고 해. 안 그러면 모델이 독수리 한 마리를 떡 하니 박아 넣는다.

셋째, 공간 배치.
왼쪽? 오른쪽? 중앙? 제발 알려줘라. "나무 하나"라고만 하면 모델은 우주 한복판에도 심어버릴 놈들이다.

넷째, 배경과 환경.
"집"만 쓰지 말고, "해 질 무렵 눈 덮인 숲속에 있는 나무 오두막집". 느낌까지 넣어줘야 한다.

다섯째, 스타일과 형식.
포토리얼? 아니메? 오일 페인팅? 원하는 스타일을 정확히 찝어줘야 네 마음을 좀이라도 이해한다.

여섯째, 동작과 맥락.
"남자"라고 쓰면 멀뚱멀뚱 서 있는 남자 나올 수도 있어. "공원에서 이어폰 끼고 달리는 남자"처럼 뭘 하고 있는지까지 그려줘야 한다.

일곱째, 텍스트나 기호 넣을 땐 위치까지.
"Welcome" 간판 달라고 했으면, 글씨 폰트, 색깔, 걸려 있는 위치까지 박박 긁어 써줘야 한다. 안 그러면 간판에 엉뚱한 언어가 떡하니 올라간다. (이상한 한자 써주는 경우도 있음)

 


 3. 명확성과 비명확성, 싸움 구경하자

비명확 프롬프트: "Nice scene with animals."
결과 : 숲속에 곰이 나타날지, 초원에 다람쥐가 튈지, 아무도 모른다.

명확한 프롬프트: "A photorealistic scene of two deer and a rabbit grazing in a sunny meadow."
결과:   두 마리 사슴과 한 마리 토끼가 햇빛 속에서 행복하게 풀 뜯는 그림 딱 나옴.
이걸 보면 알겠지? 대충 말하면, 결과도 대충 나온다.



 4. 모델별 주의사항 - HiDream vs Flux (모델이 너무많고 다양하니 대표로 요두놈만 비교해보자)
HiDream : 
- 디테일 좋아한다.- 복잡한 것도 소화한다. - 단, 너무 추상적으로 하면 얘도 버퍼링 걸린다.

Flux:
- 짧고 굵은 거 좋아한다. - 10~20단어 정도가 딱이다. - 너무 길게 써주면 내용 절반은 버린다. “응? 뭐라고?” 하면서.
모델마다 성격이 달라. 사람도 카톡 길게 보내면 "ㅇㅇ"로 답하는 친구 있잖아? Flux가 딱 그런 스타일이다.

 5. 명확성 레벨업 꿀팁
키워드 앞으로 : 가장 중요한 단어를 맨 앞에.
불필요한 단어 빼기:  "very", "extremely" 같은 거 빼라. 쓸데없이 부풀리면 모델이 당황한다.
문화적 맥락 고려: 서양 모델이라 한복 같은 거 몰라. 설명을 친절하게 해줘야 한다.
반복 테스트: 뽑아보고 맘에 안 들면, 디테일을 다시 깎아라. 반복이 답이다.



6. 명확성 부족하면 벌어지는 참사
프롬프트: "A fantasy scene."
결과:
   HiDream: 마법사 + 성
   Flux: 덩치 큰 몬스터 하나
네가 생각한 로맨틱한 요정 숲? 없다.

프롬프트: "A person with a hat."
결과:
  HiDream: 푸근한 아저씨
  Flux: 트렌디한 여자 모델
이걸 원한 거야?

7. 마무리 - 프롬프트는 인생처럼

결국 프롬프트도 인생하고 똑같아. 하고 싶은 말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해야 상대(=모델)가 제대로 이해한다.
"뭐, 알아서 잘 해주겠지" 하는 순간, 넌 망했다.
HiDream이든 Flux든, 이 세상의 모든 AI 모델은 네 안일한 생각을 0.01초도 봐주지 않는다.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집요하게. 프롬프트를 다듬는 건 곧 네 결과물을 다듬는 거다.
그러니까, 다음에 모델 앞에 앉았을 때는 무심코 한 줄 툭 치지 말고, 진짜 하고 싶은 말을 온 마음을 담아 써라.
모델은 눈치를 못 채지만, 네 진심은 결국 결과물에 스며든다.

반응형